역사뉴스

한반도에서 이루어진 세계 최초의 쌀농사

환단스토리 | 2019.05.08 21:07 | 조회 1510

한반도에서 이루어진 세계 최초의 쌀농사

한민족 이야기(8)- 한반도에서 발견된 2만 년 전 신석기 유물


글 | 홍익희    세종대 교수
조선pub 2015-11-12 15:43

인류고고학에 의하면 약 1 3~ 1만 년 전쯤에 빙하기가 끝나면서 구석기시대 역시 끝난다. 이 시기에 빙하가 녹기 시작하면서 한반도 주변 해수면이 차차 높아져 얕은 바다 서해가 생겨났다. 서해의 평균 수심이 44미터, 발해만의 경우는 더 얕아 평균 수심이 22미터에 불과한데 조수 간만의 차는 커 8미터가 넘는 곳도 있다. 그러한 썰물과 밀물 작용 덕분에 해안가에 거대한 갯벌이 만들어졌다. 아시아 대륙의 유일한 대형 갯벌인 서해갯벌이 생겨난 이유이다. 갯벌에 여러 생물군이 번성하면서 사람들이 이를 채취하기 위해 바닷가와 강가의 갯벌과 모래밭 주위로 몰려들어 살게 된다. 우리의 신석기 유적이 대부분 해안가와 강가에서 발견되는 이유이다
 
구석기시대의 인간은 겨우 사냥이나 식물채집 정도의 기술밖에는 알지 못했다. 대략 1만 년 전에 신석기시대가 시작하면서 인간은 물가 근처에 움집을 짓고 정착해 갯벌생물 채취와 어로생활을 하는 한편 곡물을 재배하고 동물을 가축으로 길들여 사육하게 된다. 바로 이때부터 인류의 문명이 크게 융성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석기 유적은 해안가와 강가 곳곳에 400개가 넘는다. 이는 갯벌생물  채취와 어로활동에 몰려드는 사람의 숫자가 크게 늘어났음을 의미한다. 이 시기 갯벌에서 채취한 조개더미는 해안가와 강가뿐 아니라 내륙에서도 발견된다.
 
본문이미지
빗살무늬토기
 
일반적으로 신석기시대라 하면 이러한 갯벌채취, 어로활동, 농경과 목축에 의해 식량생산 경제가 전개된 문화를 가리킨다. 어로와 농경이 시작되면서 생선과 식량을 다듬고 보관하기 위해 간돌(간석기,마제석기)과 토기가 만들어졌다. 간돌은 어로용으로 많이 만들어졌는데 그물추와 낚시축, 작살 따위가 중심을 이루는데 그물추가 특히 많은 걸로 보아 고기잡이가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 서해안에서 발견되는 토기는 동해안에서 발견되는 토기와 달리 갯벌과 모래밭에 박아놓고 쓰기 편하게 대부분 밑바닥이 뾰족한 형태로 만들어졌다. 우리의 빗살무늬토기가 뾰족밑유형 토기인 이유이다. 이것이 우리 신석기시대의 표지(標識)유물이다. 표지유물이란 그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을 말한다.
 
한반도에서 발견된 세계 최초의 2만 년 전 신석기 유물
 
고고학에 따르면 인류가 최초로 뗀돌(뗀석기, 타제석기)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약 70만 년 전이다.이른바 구석기시대의 시작이다. 그 뒤 뗀석기에서 간돌(간석기, 마제석기)로 발전하는 데 무려 69만 년이나 걸렸다. 1만 년 전쯤 간석기를 사용하는 신석기시대가 시작되었다는 것이 그간의 정설이었다.
 
그런데 우리나라 후기구석기 유적에서 신석기 유물인 간돌이 여러 점 출토되었다. 전남 장흥군 신북마을의 후기구석기 유적에서 간돌 7점과 이를 만든 숫돌 2개 등 신석기 유물 20여 점이 발굴된 것이다. 이 유적은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결과 1 8500년 전2 5500년 전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중심연대는 약 22천 년 전이다.
 
신북구석기유적지는 2003년 국도 2호선 확포장 공사 중 교량 터파기 공사 때 문화층이 드러나면서 우연히 이곳을 지나던 조선대 박물관 이기길 교수가 발견한 것이다. 그는 공사 중지를 요청한 후 2003 7월부터 2004 5월까지 발굴에 들어가 유물살포지 약 4만여 평 가운데 6천 여 평의 부지를 발굴했다. 그 곳에서만 무려 3만여 점의 구석기 유물을 발견했다. 유적 면적 4만평은 국내 후기구석기 유적 중 최대 규모다. 또 발굴지 6000평에서 22천 년 전 유물 3만점이 한꺼번에 출토돼 유물 밀도 역시 매우 높았다. (출처; 장흥신문 2008.3.18.)
 
  
본문이미지
 장흥 신북마을 신석기 유물
 
발굴된 유물 가운데 마제석기는 도토리 등을 갈 때 쓰는 갈돌 1, 큰 동물을 자르거나 나무를 다듬을 때 쓴 간돌 자귀 2, 그리고 지금까지 한반도에서 발견된 적이 없는 홈석기 5점 등이었다. 홈석기는 돌의 위나 아랫부분 또는 테두리 부분이 홈처럼 파였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뭔가를 빻고 곱게 가는 데 쓰인 도구로 추정된다. 이러한 마제석기들이 대부분 문화층의 중간과 아래에서 드러나서, 이제까지 타제기법은 구석기시대’, 그리고 마제기법은 신석기시대라는 고정 관념을 재검토해야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리고 신북유적을 중심으로 반경 12 범위에 20여개의 구석기 유적군을 형성하고 있다. 또 신북유적에서 발굴된 흑요석의 성분분석 결과 원산지가 백두산 흑요석은 물론 일본 큐슈와 홋카이도 흑요석도 출토되어 신북유적의 후기구석기인들이 백두산 일대와 일본열도와도 교류했음을 보여준다.
 
그간 한반도에서 간돌 유물로 가장 오래된 유적은 1 2천 년 전으로 추정되는 제주 고산리 신석기 유적이었다. 따라서 이보다 1만년 앞선 유적에서 신석기 유물이 출토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는 마제기법이 신석기시대에 들어와 사용됐다는 학계의 통설과 달리 이미 후기 구석기시대에 간석기를 만들어 썼음을 보여주고 있다. 세계 고고학계는 ‘1만 년 전 신석기혁명을 통해 처음 신석기를 썼다고 보고 있는데 한반도에서 무려 2만 년 전 신석기가 발견됨으로써 ‘1만 년 전 신석기혁명 이론을 무색케 했다.
 
2만 년 전 신석기 유물의 의미, 인류 최초의 농경 시작
 
신석기 유물이 의미하는 바는 크다. 사람들이 정착하여 농경생활을 시작했음을 뜻한다. 간석기와 토기를 사용하여 어로생활을 하고 농사를 지으며 가축을 기르는 등 식량 생산단계에 접어든 것이다. 이는 신석기혁명이라 불릴 정도로 인간 삶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경제사를 제도발전 차원에서 다룬 공로로 1993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버클리 대학의 더글러스 노스 교수는 1만 년 전 신석기혁명이 산업혁명에 버금가는 큰 변화로 보았다. 그래서 이를 1차 경제혁명이라고 명명하고, 산업혁명을 2차 경제혁명으로 보았다.
 
수렵채취 사회는 부족원이 다 같이 사냥하고 채취하여 나누어 먹는 원시 공산사회였다. 인류의 역사를 250만 년이라고 보면 249만 년 간 평등한 공산사회에 살았다. 비록 배고픈 평등이었지만 말이다.이에 반해 농경사회는 사적재산권을 인정해줌으로써 효율과 생산성을 극적으로 높였다. 그 뒤 사적 소유제라는 유인(誘引)으로 인류가 놀랍게 진보하였다.
 
세계적으로 구석기 유적에서 농경시대의 유물인 신석기 유물이 함께 발굴된 경우는 일본 나가노현 간노키 유적과 히비야 유적 그리고 우리 신북 유적 정도다. 당시는 한반도와 일본 열도가 붙어 있을 때였다. 곧 한반도와 일본열도에서 최초로 용도에 맞추어 돌을 갈아 쓰기 시작한 사람들이 나타나 이들이 돌괭이와 돌칼 등을 만들어 땅을 파고 야생 곡물을 심어 농사를 짓기 시작했다는 이야기다. 이들에 의해 인류 최초의 농경이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로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에서는 약 기원전 9500년경부터, 인도에서는 약 기원전 6000년경부터, 고대 이집트에서는 약 기원전 5000년경부터, 그리고 중국에서는 기원전 2500년경부터 농경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한반도에서 이루어진 세계 최초의 쌀농사
 
본문이미지
청원 소로리 볍씨유물
                                            
우리의 농경이 일찍 시작되었다는 증거는 또 있다. 과거에 우리 벼농사는 중국으로부터 유래되었다고 배웠다. 그런데 우리의 쌀농사가 중국보다 앞서 시작됐다는 주장이 있다. 쌀에 관한 한 한반도는 세계에서 가장 먼저 농사가 시작된 곳이라 한다. 지금은 오창과학산업단지가 들어선 충북 청원군 옥산면 소로리에서 지표조사 과정 중 구석기 유물들과 함께 고대 볍씨들이 발견되었다.
 
당시 출토된 볍씨는 고대벼 18톨, 유사벼 41톨 등 모두 59톨로 확인됐다. 볍씨뿐만이 아니라 이 유적 일대에는 찍개, 긁개, 홈날, 몸돌, 격지 등의 구석기 유물이 넓은 범위에 걸쳐 수습됐다. 출토된 볍씨는 야생 벼가 아닌 재배 벼였다. 고대 우리나라에는 야생 벼가 없었기 때문에 분명한 경작의 흔적이었다.
 
서울대학교의 방사선탄소연대측정 실험과 미국 지오크론시험소 유전자 분석결과,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1만 3000년~1만 5000년 전의 볍씨로 밝혀졌다. 지금까지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왔던 중국 후난(湖南)성 옥천암 동굴에서 출토된 볍씨보다 2천~4천년이나 앞선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로리 볍씨≫가 1만 5000년 전의 것으로 판명되자 일부 학계에서 의문을 제기했다. 곧 1만 5000년 전은 구석기말 빙하기 끝 무렵인데 한반도에서 아열대 식물로 알려진 벼가 추운 기후에서 자랄 수 있었을까? 또 그 벼가 ≪야생 벼≫인지, ≪재배 벼≫인지에 대한 의문이었다.

이에 대해 국립 작물시험장 춘천출장소에서 냉해실험을 통해 벼가 자랄 수 있는 온도를 실험한 결과, 따뜻한 기후에서만 자라는 것으로 알려진 벼가 기후적응을 잘하는 식물로 밝혀져 1만 5000년 전 학설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또 볍씨를 분석한 교수들의 연구 결과, 소로리 볍씨는 재배 벼 특징을 갖고 있었다. 2003년도 필리핀에서 열린 ≪세계미유전학회≫에서 소로리 볍씨가 세계 최초의 볍씨라는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본문이미지
 
쌀농사가 세계 최초로 이루어졌다는 것은 나름 의미가 크다. 농경을 위한 마을 공동체가 빨리 정착되었을 뿐 아니라 한반도가 쌀농사에 적합한 곡창지대라는 뜻이다. 밀농사와 달리 쌀농사는 까다롭다. 기후, 수량 등 천혜의 조건이 맞아야 한다. 그 만큼 인간이 살기에 좋고 농경 조건에 적합해야 한다. 서양에서도 쌀농사가 가장 먼저 시작된 곳은 낙차가 크지 않은 포강이 흐르는 밀라노 인근 롬바르디 평야의 곡창지대였다.
 
볍씨 이외에도 탄화미(炭化米)가 많이 출토되었다. 탄화미란 유적 출토 곡물의 하나로 불에 타거나 지층 안에서 자연 탄화되어 남아 있는 쌀을 말한다. 탄화미가 출토되는 유적은 벼농사와 관련되는 경제활동이 이루어진 곳이다. 벼의 출토상황은 탄화미 형태, 벼 껍질 형태, 식물 규산체 분석을 통한 증거 등 다양하며, 토기에 볍씨자국이 찍힌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벼농사의 기원과 관련하여 여러 선사유적에서 탄화미들이 발굴되었다. 남한강변의 흔암리 유적에서 화덕자리 언저리에서 탄화미가 보리, 수수, 조 등의 곡물과 함께 나왔으며 탄화미가 민무늬토기 안에 담긴 채로도 나왔다. 유적의 연대는 기원전 13~7세기경이다. 한편 평양 남경 유적에서 탄화미와 더불어 조, 수수, 기장, 콩 등 오곡의 낱알이 발견되어 큰 주목을 받았다. 유적의 연대는 기원전 10~9세기이다. 또 일산 가와지 토탄층에서도 많은 벼 껍질이 발굴되었는데 약 4,500년 전 것으로 밝혀져 적어도 고조선 이전부터 한반도에서 쌀농사가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나온 유물들을 보면 벼 종자에 있어 자포니카(Japonica) 형태가 대부분이나 때로는 안남미라 불리는 인디카(Indica) 형태도 있다. 중국이나 동남아 지역에서 발견되는 종자는 한 가지지만 소로리 볍씨에서는 자포니카와 인디카가 모두 발견됨으로써 벼의 기원이 한반도라는 것이 한층 더 확실해 보인다.
 
또한 충북 옥천유적과 평양 남경유적에서 발견된 오곡은 우리 한민족의 농업이 다변화되고 농업이 상당한 수준으로 발전했음을 뜻한다. 그 무렵 쌀농사 이외에도 조, 콩, 숫, 기장 등을 재배하여 일 년에 두 번 이기작 농업을 하여 1년 내내 농사를 지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모작은 같은 종류의 곡물을 일 년에 두 번 심어 수확하는 것이고 이기작은 다른 종류를 두 번 심어 추수하는 것이다. 농업생산성이 중국 보다 월등히 높았음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에 이전 시기보다 훨씬 발전된 형태의 농기구들이 발견되어 기구들 역시 다양하게 발전해 농사짓는데 이용되었다.
 
콩의 원산지, 한반도
 
본문이미지
 
우리는 이기작 농업을 하면서 밭농사를 발전시켰는데 특히 콩 농사를 많이 지었다. 콩운 추위에도 잘 견디고 생명력이 왕성해 웬만한 가뭄이나 홍수에도 잘 버텨낸다. 오늘날의 농학에서 콩의 원산지를 한반도와 만주 남부로 본다. 콩의 원조인 야생 콩이 한반도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어 한반도가 그 중심임을 증명하고 있다. 그리고 만주 남부야말로 맥족(貊族)의 발상지로 고조선 영역이다.
 
1920년대 미국은 세계 식량종자 확보를 위해 세계 각지의 야생작물 채취에 나선다. 그들은 한반도에서 3개월 활동하면서 야생 콩 종자의 절반이 넘는 무려 3,379종의 야생 콩을 채취했다. 식물의 원산지를 추정할 때 변이종의 다양성이 그 기준이라 한다. 당시 한반도는 일본 영토라 콩의 원산지를 일본 혹은 중국으로 기록했다. 콩은 우리의 음식 문화를 대표하는 작물로 농경생활에서 부족하기 쉬운 단백질을 공급하는 중요한 양식이다.
 
콩의 한자는 숙(菽)이다. ‘숙맥’(菽麥)이라는 말은 바로 콩과 보리라는 말이다. 쑥맥(숙맥)은 가장 중요한 양식인 콩과 보리조차도 구분하지 못한다는 뜻에서 쓰이기 시작한 말이다. 고조선의 콩은 이후 제나라를 통해 중국으로 전해진다. 전한(前漢) 시대의 사마 천이 집필한 <사기(史記)>를 보면 "제(劑)는 북으로 산융(山戎)을 정벌하고 고죽국(孤竹國) 지역까지 갔다가 융숙(戎菽)을 얻어 돌아왔다"는 기록이 있다. '융숙'이 바로 콩(대두)이다. 기원전 623년의 일이다.
 
고대 한국, 부족과 왕국의 출현도 중국보다 빨랐던 듯
 
한반도에서 세계 최초로 이루어진 쌀농사는 가족농과 씨족 체계의 형성과 발전에도 큰 관련이 있었을 것이다. 논을 만들어 물을 대기 위해서는 여러 사람들의 협력이 필요하다. 그밖에도 모내기와 벼 베기, 물 관리 작업을 통해 두레와 마을 공동체가 형성된다. 쌀농사의 규모가 커지면 물 관리와 관개시설이 필수다. 고대 한국이 이러한 씨족 공동체의 발달과 더 나아가 부족사회가 형성되고 그리고 대규모 치수사업으로 고대국가의 등장도 주변에 비해 빨랐을 것이다. 단군과 고조선을 신화의 영역에서 역사의 영역으로 모시고 나와야 하는 이유이다.
 
본격적인 정치조직인 고대 왕국은 농경의 시작과 함께 등장했다는 것이 역사학계의 정설이다. 수로와 저수지 등 관개시설 건설과 다리 등을 놓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인력 동원이 필요했다. 많은 인력을 동원하고 이들을 효율적으로 부리기 위해서는 정치조직이 필수적이었다. 이후 고대 봉건국가에서는 물을 다스리는 치수가 가장 중요한 정치 행위이자 왕의 업적이 되었다. 그 뒤 동양에서 치수는 곧 정치였다.  중국 사료에도 동이족은 예로부터 치수가 뛰어난 것으로 유명하다. 중국에서도 물길을 잘 다스린 것으로 알려진 요와 순 임금이 모두 동이족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
 
개의 DNA로 분석한 농경과 사육의 역사
 
본문이미지
 
한반도에서 농경과 목축이 가장 먼저 시작되었다는 또 다른 증거가 있다. 동물의 사육 곧 목축도 농업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사람들은 짐승을 잡아 고기를 먹고 나서 그 털과 가죽으로 옷을 해 입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당시의 것으로 추정되는 개와 돼지의 뼈가 많이 발굴되는데 특히 개 뼈가 압도적으로 많다. 이는 몽골 같은 목축지대에서 양이나 염소 뼈가 많이 발굴되는 것과는 사뭇 다른 현상이다. 한반도에서 농경이 시작되면서 가장 먼저 길들여진 짐승이 개로 추정된다. 세계적으로 개,염소, , , 돼지 순으로 가축을 길렀다 한다.
 
참고로 전 세계에 퍼진 개의 조상은 동북아 회색 늑대라고 한다. 스웨덴 왕립기술연구소의 과학자들이 전 세계 500종 이상의 개의 DNA를 분석한 결과, 동북아시아의 개가 유전적 다양성이 가장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 지역의 개가 가장 오래 전에 가축화되었음을 뜻한다. 이처럼 늑대는 1만5천 년 전에 처음으로 사육되어져 1만4천년~8천 년 전 사이에 아메리카 대륙 등 전 세계에 퍼졌다 한다.(2004. 4. 사이언스지) 그러고 보니 우리나라 풍산개와 진도개가 늑대와 많이 닮은 것 같다.
 
개 사육의 역사가 중요한 이유는 문명의 기원과 농경사회의 출현이 이와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그 뒤 사육된 개는 사람을 따라 이동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1만4천년~8천 년 전 사이에 동북아시아에서 사람들이 퍼져나갔다는 이야기다.
 
본문이미지
미국 자연사 박물관 인디언관
                                       
6만 년 전에 아프리카를 떠나 메소포타미아에 이르렀던 현생인류가 그 뒤 세 갈래로 퍼져 나갔다. 그 한 갈래가 바이칼호 주변에 머물다가 빙하기가 걷히면서 다시 아메리카 대륙과 북유럽 등으로 퍼져 나갔다는 것이다. 핀란드 등 북구인들 가운데 많은 사람들에게서 몽고반점이 발견되는 이유이다. 또 미국 자연사 박물관 인디언관에 전시된 절구, 소쿠리, 광주리, 삼태기, 베틀, 어망, 물레 등은 우리네 선조들이 쓰던 것과 너무나 흡사하다.


twitter facebook kakaotalk kakaostory 네이버 밴드 구글+
공유(greatcorea)
도움말
사이트를 드러내지 않고, 컨텐츠만 SNS에 붙여넣을수 있습니다.
341개(3/18페이지) rss
환단고기-역사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301 단재 신채호의 '直筆정신' 환생하길 환단스토리 953 2020.02.20
300 [이덕일의 ‘역사의 창’] 임나일본부설 선전하는 국립박물관 가야전 환단스토리 922 2020.02.06
299 1909년 추정 등사본 『환단고기』의 출현 사진 첨부파일 환단스토리 1089 2020.01.05
298 터키 선사 유적지서 8천500년 전 사람 이빨 장신구 출토 사진 환단스토리 1067 2019.12.14
297 옛사람 우주관 담긴 윷판·칠성성혈, 남원 오작교에서 찾았다 사진 첨부파일 환단스토리 952 2019.12.13
296 단재 신채호 선생 탄신기념일.동상 제막식 환단스토리 1060 2019.11.27
295 일본 문자 ‘가타카나’는 한반도의 발명품? 환단스토리 1083 2019.09.16
294 심백강 박사 “일제 식민사관 청산되지 않아 민족정기 훼손” 사진 환단스토리 940 2019.09.06
293 조선의 ‘선(鮮)’은 무슨 뜻? 사진 환단스토리 972 2019.09.06
292 "전쟁터 된 韓·中·日 고대사 연구…근대 기반 해석 버려야" 환단스토리 722 2019.09.06
291 환웅, 예·맥족 포용… 부족공동체→고대국가 발전 터 닦았다 사진 환단스토리 782 2019.09.06
290 ‘한반도, 중국 삼국지 조조 위나라 땅이야’ 사진 환단스토리 1174 2019.07.06
289 중국 신석기시대 량주 유적 유네스코 등재..55번째 세계유산 사진 환단스토리 726 2019.07.06
288 [신간서적]동아시아 고대사의 쟁점,왜 ‘사료 없는 주장’, ‘상상으로 쓰 사진 환단스토리 1076 2019.06.05
287 안중근 의사 "고문 두렵지 않아…죽으면서도 나는 기쁘다" 사진 환단스토리 1058 2019.05.30
286 서양사는 아시아 문명이 모태 사진 환단스토리 1130 2019.05.20
285 “소로리 고대벼도 1만2500년 전 것” 확인.."연대논란 해소" 사진 환단스토리 1043 2019.05.08
284 한 뿌리의 인연, 브라만교, 불교, 힌두교 - 쿠르간 가설 사진 환단스토리 1093 2019.05.08
>> 한반도에서 이루어진 세계 최초의 쌀농사 사진 환단스토리 1511 2019.05.08
282 5020년된 고양가와지볍씨, 한반도 벼농사 전파에 중요한 자료 제공 환단스토리 1084 2019.05.08
 
모바일 사이트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