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뉴스

한민족의 始原 바이칼 호수를 품은 부랴트공화국을 가다

알캥이 | 2012.04.29 15:18 | 조회 6025

한민족의 始原 바이칼 호수를 품은 부랴트공화국을 가다


Name: 천추의기, Date: 2011.11.24. 10:04 (Hit: 36)

한민족의 始原 바이칼 호수를 품은 부랴트공화국을 가다

백두산이 민족의 성지 (聖地) 라면 바이칼 호수는 한민족의 시원(始原)으로 여겨진다.

그래서일까. 한국인 중에는 ‘바이칼’ 이란 말을 듣기만 해도 가슴 설레는 이들이 적지 않다. 한민족의 형성과 이동경로 및 풍속 등을 연구하는 전공학자들과 전통 무속 및 명상 등에 관심이 많은 인사들이 소리 소문 없이 다녀간다.

충북 제천 세명대도 호수 주변 부랴트공화국의 수도 울란우데 시에 있는 동시베리아 문화예술대와 상호 교류협정을 맺고 교환학생을 보내고 있다.


바이칼 호수가 자리 잡고 있는 러시아 동부 시베리아의 부랴트공화국에 최근 다녀왔다.

남한의 3.5 배가량 넓이에 인구가 100만 명이 채 안 되는 이 나라는 우리와 생김새가 똑같은 몽골어계 민족인 부랴트인이 25만 명에 달하는 ‘러시아 속 몽골’ 이다.

러시아인 부랴트인 우크라이나인 코사크인 및 원주민인 에벤크족이 공존하고 있다.


세계 최대의 청정 담수호인 바이칼 호수와, 10여 리를 가도 끝이 보이지 않는 타이가 산림 및 사방 천지를 둘러봐도 초원으로 둘러싸인 스텝을 한꺼번에 체험할 수 있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다.

이처럼 수(水) 평선, 목(木) 평선, 초(草) 평선을 한꺼번에 볼 수 있는 나라는 흔치 않다.

겨울에는 스키 얼음낚시와 사냥, 봄에는 들꽃 기행, 여름에는 각종 수상 스포츠, 가을에는 트레킹이 펼쳐진다.


바이칼


부랴트 가무극 ‘선조의 영’ 공연 장면. 우리 설화 ‘나무꾼과 선녀’ 와 기본 스토리가 똑같다.

바이칼 호수는 세계에서 가장 깊고, 가장 깨끗하며, 저수량이 가장 많은 호수다. 최대 수심은 1637m. 수심 30∼40m 까지 볼 수 있으며, 전 세계 인구가 40년 가량 마실 수 있는 천연 광천수다.

바다로 착각한 탓인지 세계에서 유일하게 담수호 물개가 서식하고 있다.


이곳에서만 잡히는 ‘오물’ 은 부랴트인들이 가장 즐겨 먹는 생선이다.

우리 입맛엔 절임보다 구이가 더 맞는다. 한 겨울에 꽁꽁 언 바이칼 호수 얼음 아래에서 위를 올려다 보고 사진을 찍으면 마치 투명유리에 비친 모습으로 사진이 찍힌다.


초승달처럼 생긴 바이칼 호수의 절반은 러시아 이르쿠츠크 주와 부랴트공화국이 양분해서 관리하고 있다.

이르쿠츠크 지역은 접근성과 풍광이 좋은 반면 절벽지대이고, 부랴트는 호수 주변이 모래사장이나 자갈밭이어서 수영 산책 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민족의 시원으로 거론되는 바이칼 호수 북쪽 올혼 섬은 이르쿠츠크 주가 관할한다. 매해 가을 오물이 알을 낳으러 회귀하는 부랴트 지역의 ‘오물룝카’ 는 산 평원 강이 환상적으로 어우러진 지역이다.


끊임없이 이어지는 타이가 숲에는 시베리아 소나무와 자작나무가 지천이다.

자작나무가 겨울에 내린 눈의 무게를 견디지 못해 활처럼 휘어진 것은 색다른 구경거리다. 부랴트 사람들은 ‘ 나무의 귀족’ 인 자작나무 껍질을 태워 향을 사르며 기원을 올린다.


○ 문화와 풍습


바이칼 호수로 가는 도중 해발 1800 m가량 되는 고개를 넘자 동시베리아 문화예술대의 라다 바이르마 교수가 갑자기 차를 세우고 밖으로 나간다.

그는 부친이 부랴트공화국의 문화장관을 지낸 부랴트인으로 상공회의소 관광위원장도 맡고 있는 지식인이다. ‘볼일이 급한가 보다’ 고 생각했는데 돌연 울긋불긋한 천이 걸린 나무에 보드카를 뿌린다. 당산목 (堂山木)에 고수레 의식을 하는 것이다.

바이칼 호수에 도착하자 핸드백에서 쌀 한 줌을 꺼내 또 한 번 같은 의식을 치른다. ‘왜 그렇게 하느냐’ 고 물었더니 “ 자연에 대한 감사의 의미다. 오래전 부터 부랴트인들은 이런 의식을 해 왔다. 깨끗한 쌀이나 술, 동전을 뿌린다” 고 답했다.

달라이 라마의 밀랍인형을 단상 중앙에 모시고 있는 라마 사원 주변에도 쌀이나 동전이 많이 뿌려져 있다.

바이칼 호수에 도착한 라다 바이르마 교수가 쌀을 뿌리며 고수레를 하고 있다.

바이칼이 한민족의 시원임을 연상케 하는 의식이다.

서낭당이나 솟대 장승들도 눈에 띈다. 샤먼이 이들의 영적 세계를 총괄한다.

부랴트 사람들의 엉덩이에는 몽고점이 있고, 부랴트 언어는 우리말과 같은 알타이어계로 분류된다. 러시아풍의 극장에서 부랴트 가무극 ‘선조의 영’ 을 보면서 ‘ 나무꾼과 선녀’ 와 기본 스토리가 똑 같아 깜짝 놀랐다.

문화인류학을 공부하면서 4년 전부터 부랴트공화국에서 살고 있는 부랴트국립대 전봉수 교수(31)는 “ 세상에서 샅바 씨름을 하는 곳은 한국과 부랴트공화국밖에 없다” 고 소개했다.

최근에는 이곳에도 케이팝 등 한류 바람이 일고 있다고 한다.


○ 사회상과 한 - 부랴트 관계


직항으로 해도 3∼ 4시간을 가야 할 만큼 떨어져 있지만 한국과 시차가 없다. 상품 진열대의 70% 는 중국 상품이 차지하고 중국어 열풍이 일고 있다.


부랴트 사람들은 시신을 매장하면 다시는 묘지를 찾지 않는다고 한다. 부랴트국립대 동양학부 극동어문학과 다리마 산다노브나 교수 (33·여)는 “ 망자는 윤회의 원리에 따라 이미 다른 곳으로 갔으므로 가족들이 찾아가면 오히려 방해가 된다고 생각한다” 고 설명했다.

그는 부랴트 수도 한복판에 아직도 세계 최대의 레닌 두상이 자리 잡고 있는 데 대해 “ 레닌 또한 역사의 뿌리라고 생각하는 데다 나름대로 부가가치가 있는 관광자원이기 때문 ” 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레닌이 누군지조차 모르는 젊은이도 많다고 한다.

부랴트 가무극 ‘선조의 영’ 공연 장면.

우리 설화 ‘나무꾼과 선녀’ 와 기본 스토리가 똑같다.




중국학계는 왜 '기자조선'에 집착하는가


Name: 천추의기, Date: 2011.11.24. 10:01 (Hit: 24)

중국학계는 왜 '기자조선'에 집착하는가

[출처] 연합뉴스 2011.08.24


이성규 교수 "고조선, 중국사 편입 저의"


“기자조선이 없으면 위만조선도 없었고, 한사군(漢四郡)도 없었으며, 고구려 및 평양 천도도 없었고, 발해가 고구려의 옛 강역을 점유하는 일도 없었다.”


중국의 어떤 역사학자가 2002년 중국 내에서 발간된 잡지에 발표한 글 중 일부다.


중국 고대사 전공인 이성규 전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는 도서출판 일조각이 발간하는 역사학 계간지 '한국사 시민강좌' 최신호(49집)가 마련한 특집 '고조선 연구의 현 단계'에 투고한 '중국사학계에서 본 고조선'이라는 글을 통해 중국 역사학계가 왜 기자조선에 집착하는지를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이 전 교수에 따르면 중국 학계에서는 위만조선 이전에 존재했다는 기자조선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거나, 있다고 해도 그 존재를 부정하는 기류가 압도적이었다가 1980년대 이후 그에 대한 관심이 늘고 덩달아 기자조선의 존재를 긍정하는 연구가 많아지기 시작한다.


특히 2000년대에 접어들어서는 이른바 '동북공정' 프로젝트와 맞물려 "고조선을 사실상 '기자조선'과 등치시키고 그 역사적 실재를 입증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폭증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이번 논문에서 기자조선에 대한 중국 역사학계의 관심과 그 변화 과정을 정리하면서 종전에는 그 존재조차 의심하던 중국 학계가 최근에는 기자조선이 실재했다는 글을 쏟아내기 시작함으로써 고조선을 중국사에 편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기자조선은 은(殷) 왕조 멸망 당시 그 왕족인 기자(箕子)를 주 왕실이 (고)조선왕에 책봉하면서 시작된 왕조로, 그 중심지는 지금의 평양이었다고 하지만 기자가 조선에 왔다는 증거 자체가 없어 실제로 존재한 왕조인지 아닌지를 두고 국내에서는 논란이 분분하다.


하지만 이번 글에서 이 전 교수는 중국 학계에서 내세우는 기자조선 긍정론의 근거를 하나하나 반박하면서 이에 입각한 중국 학계의 글들이 "만신창이가 된 논지들이 가득한, 따라서 설득력이 거의 없는 것이 대부분이라 해도 지나친 혹평은 아닌 것 같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 전 교수는 그럼에도 중국 학계가 "사실상 설득력이 없는 논문들을 계속 양산하고 있는 것"은 "결국 어떤 방식으로든 '기자조선'의 실재를 논증해야 한다는 '사명의식' 때문인 것 같다"면서 "객관적인 학문의 입장에서 사실 '기자조선'의 실재에 집착할 이유는 없다"고 못박았다.


중국학계의 기자조선 긍정론은 다민족통일국가론에 입각한 중화주의에 따라 한국역사를 장악하려는 시도라는 것이다.


이번 특집호에는 이 외에도 ▲고고학으로 본 고조선(송호정. 한국교원대) ▲고조선과 요하문명(이청규. 영남대) ▲이변도와 천관우의 고조선사 연구(조인성. 경희대) ▲리지린의 '고조선 연구' 그 후(이형구. 선문대) ▲고조선 연구, 무엇이 문제인가?(이기동. 동국대)와 같은 논문이 함께 수록됐다.

[김태식 기자]


twitter facebook kakaotalk kakaostory 네이버 밴드 구글+
공유(greatcorea)
도움말
사이트를 드러내지 않고, 컨텐츠만 SNS에 붙여넣을수 있습니다.
341개(9/18페이지) rss
환단고기-역사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81 춘천 중도 ‘레고랜드’ 만들려고 땅 팠다가 2천년전 마을 유적 대거 발견 사진 환단스토리 3641 2015.01.20
180 “춘천 레고랜드 대신 고조선랜드 만들자” 환단스토리 3115 2015.01.20
179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6> (군사저널) 사진 환단스토리 3683 2015.01.16
178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1> (군사저널) 사진 환단스토리 4183 2015.01.16
177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2> (군사저널) 사진 환단스토리 4213 2015.01.16
176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3> (군사저널) 사진 환단스토리 4402 2015.01.16
175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4> (군사저널) 사진 환단스토리 4507 2015.01.16
174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7> (군사저널) 사진 환단스토리 3111 2015.01.16
173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8-1> 사진 환단스토리 3029 2015.01.16
172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8-2> (군사저널) 사진 환단스토리 3283 2015.01.16
171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10-1> 사진 환단스토리 3194 2015.01.16
170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2> (군사저널 2015.01) 사진 환단스토리 3014 2015.01.16
169 계연수와 이유립을 찾아서 사진 상생택국 3307 2015.01.10
168 [이덕일의 천고사설] 한국인의 영성(靈性) 사진 첨부파일 환단스토리 3130 2014.12.28
167 “고조선 역사 논쟁은 계속돼야 한다” (2009.9.21) 사진 환단스토리 2949 2014.12.23
166 모든 발음 표기 가능한 한글, 국제표준음성기호로 제격 (조선일보 14.1 사진 환단스토리 3364 2014.12.08
165 [박석재의천기누설] ‘환단공정’에 대비하자 환단스토리 2829 2014.12.05
164 창의적 역사관 품은 환단고기… '호화선장본' 최초 판본 찾았다 사진 첨부파일 환단스토리 2781 2014.12.05
163 일제(日帝) "단군 존재 인정" 사진 첨부파일 환단스토리 2757 2014.11.21
162 2008년 세계철학자대회 아시아 최초 서울 개최 환단스토리 2797 2014.11.21
 
모바일 사이트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