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찬구 박사, 5500년 전 옥기(玉器) ‘치우(蚩尤)상’ 공개
![]() | ||
▲ 이찬구 박사가 '제1차 홍산문화 학술발표회'에서 홍산옥기 치우상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 이찬구 박사) |
“치우 생존연대 알려진 것보다 600년 앞서야”
[천지일보=이길상 객원기자] <돈>의 저자인 이찬구 박사가 5일 프레스센터 프레스클럽에서 열린 ‘제1차 홍산문화 학술발표회’에서 지금으로부터 약 5000~55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옥기로 만든 치우상을 공개했다.
이 치우상은 한국홍산문화학술원(원장 박문원) 수장품으로 홍산문화 지역인 중국 오한기(敖漢旗) 지방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한다.
이 박사는 중국 산둥성(山東省) 가상현(嘉祥縣)에 있는 ‘무량사 화상석’(武梁祠 畵像石)에 등장하는 그림에서 치우상을 발견하고, 이 홍산 옥기와 비교한 논문을 발표했다.
“고고학자 김재원(金載元,1909~1990) 박사가 무량사 화상석을 연구해 1946년 ‘단군신화의 신연구’라는 책을 냈습니다. 그 책에서 그림 속 아기는 단군이고, 왼쪽의 곰 형상 인물은 단군과 무관한 괴물(치우)이라고 주장한 겁니다. 그래도 대단한 발견이었지만 치우의 존재에 대해서는 소홀했습니다.”
이 박사는 단군을 증명하는 데 가장 중요한 인물은 ‘치우’라고 강조했다. 치우는 사마천의 ‘사기(史記)’에 몇 번 등장하지만, 일연의 ‘삼국유사’에는 환웅과 웅녀의 만남으로 단군이 탄생한 얘기만 전할 뿐, 역시 치우에 관한 역사는 누락돼 있다.
“이 그림은 호녀가 아기를 안고 있고, 그 옆에는 치우라는 인물이 곰 형상을 하고 있습니다. 이는 치우가 웅족(熊族)이라는 사실입니다. 이 홍산옥기의 치우상도 웅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귀와 입이 곰의 형상입니다.”
이 박사는 중국문헌에 ‘치우는 구려(九黎)의 임금’이라는 대목과 <환단고기>에서 ‘웅씨 여왕의 후손은 려족(黎族)’이라는 말에서 치우가 웅족이라는 근거를 찾아냈다. 그는 “이 홍산옥기의 치우상은 학계의 고증이 필요하지만, 치우의 생존연대는 알려진 것보다 600년 앞서야 한다”며 “삼국유사에서 누락된 치우의 역사가 복원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
||
▲ 홍옥 치우상 (사진제공: 이찬구 박사) |
원문 출처: 뉴스천지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361 (기사입력: 2013. 12. 05)
- 217361_169604_2231-01.jpg (444.9KB) (0)
- 217361_169605_2251_01.jpg (260.6KB)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187 |
하루키 "상대가 됐다고 할 때까지 사과해야"
![]() |
환단스토리 | 3761 | 2015.04.22 |
186 |
전라도가 중국 땅? 중국보다 더한 일본 교과서
![]() |
환단스토리 | 6132 | 2015.04.22 |
185 |
경주 황남동서 유골-장신구 함께… 교합자세 추정에 발굴팀은 부정
![]() |
환단스토리 | 4760 | 2015.04.10 |
184 | 日 문화청 "한국 문화재에 '임나' 표기 1936년부터 사용" | 환단스토리 | 3095 | 2015.04.09 |
183 |
이총리 "日 사실아닌 역사왜곡안돼"…임나일본부설 비판
![]() |
환단스토리 | 3589 | 2015.04.09 |
182 | 중국 "백두산은 고대부터 중국영토" 주장 서적 편찬 | 환단스토리 | 2987 | 2015.04.03 |
181 |
춘천 중도 ‘레고랜드’ 만들려고 땅 팠다가 2천년전 마을 유적 대거 발견
![]() |
환단스토리 | 3890 | 2015.01.20 |
180 | “춘천 레고랜드 대신 고조선랜드 만들자” | 환단스토리 | 3346 | 2015.01.20 |
179 |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6> (군사저널)
![]() |
환단스토리 | 4047 | 2015.01.16 |
178 |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1> (군사저널)
![]() |
환단스토리 | 4530 | 2015.01.16 |
177 |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2> (군사저널)
![]() |
환단스토리 | 4563 | 2015.01.16 |
176 |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3> (군사저널)
![]() |
환단스토리 | 4684 | 2015.01.16 |
175 |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4> (군사저널)
![]() |
환단스토리 | 4910 | 2015.01.16 |
174 |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7> (군사저널)
![]() |
환단스토리 | 3439 | 2015.01.16 |
173 |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8-1>
![]() |
환단스토리 | 3368 | 2015.01.16 |
172 |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8-2> (군사저널)
![]() |
환단스토리 | 3538 | 2015.01.16 |
171 |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10-1>
![]() |
환단스토리 | 3439 | 2015.01.16 |
170 |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2> (군사저널 2015.01)
![]() |
환단스토리 | 3245 | 2015.01.16 |
169 |
계연수와 이유립을 찾아서
![]() |
상생택국 | 3555 | 2015.01.10 |
168 |
[이덕일의 천고사설] 한국인의 영성(靈性)
![]() ![]() |
환단스토리 | 3380 | 2014.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