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대사, 끝나지 않은 전쟁②]고대사 정립은 민족 정체성 확립하는 작업
[한국 고대사, 끝나지 않은 전쟁②]고대사 정립은 민족 정체성 확립하는 작업
이투데이 2016-07-04 07:03
사료로 보는 민족의 기원과 고대조선 강역…패수·한사군 위치 등 혼란만 빚어
[이도상 역사학자]
이도상 역사학자
1.민족의 이름과 기원에 대한 합의가 절실하다.
교육은 곧 우리의 미래다! 그런데 현재 시행되고 있는 역사교육은 실증사학이라는 명분으로 민족의 기원을 폄훼하고 부정하는 내용뿐이다. 이는 청소년들의 민족에 대한 자존심을 훼손하고 자아를 상실케 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역사학계는 이를 바로잡으려는 노력은커녕 편을 갈라 상호 비방을 일삼고 있다. 더욱이 우리 역사학계는 민족의 이름과 기원에 대한 합의도 이루지 못하고 있다. 반만년 역사를 자랑하는 우리 민족이 그 이름도 없고, 그 기원도 모른다면 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심히 부끄러운 일이다.
우리나라 국사 교과서에서 민족의 이름이 사라진 것은 2009년부터다. 현재 모든 국사 교과서에서 ‘우리 민족’으로만 두루뭉술하게 표기하고 있다. 그 이전 국사 교과서에서는 ‘한민족’ 또는 ‘배달민족’ 등의 이름을 볼 수 있었다. 그런데 정부는 국제무대에서 민족을 상징하는 이름이 필요하다며 역사서들에서 보이는 한민족, 배달민족, 백의민족, 동이족, 예, 맥, 숙신 등등 그 가운데 하나를 민족의 이름으로 정하려다가 합의를 보지 못하자, 이름 대신 ‘우리 민족’이라는 표현으로 묶어버린 것이 아닌가 싶다.
민족의 이름에 대한 합의가 없다 보니 민족의 기원에 대한 설명도 모호하기 그지없다. 서둘러 민족의 이름과 기원에 대한 합의를 이루어야 한다. 그것은 국제무대에 내세울 수 있는 민족의 정체성과 관련된 문제이자 국제경쟁력의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필자는 ‘우리 민족이 처음 세운 나라는 고대조선이며 2000년 가까이(서기전 2333~서기전 425년) 존속하면서 공동체 속에서 함께 생활하는 과정에서 집단 귀속의식이 점차 강화되었을 것이므로 한민족은 고대조선시대에 출현했다’는 선학들의 논리에 따라 우리 민족의 이름을 한민족으로, 그 기원은 고대조선으로 합의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또 우리 민족이 처음 세운 나라는 ‘고조선’이 아니라 ‘조선’이었다. 따라서 ‘근대조선’과 시대를 구분하기 위해서 ‘고대조선’이라고 불러야 한다는 점도 강조하고 싶다.
2.고대조선 강역에 대한 논의는 민족과 문명이 형성된 기원을 찾는 작업이다.
고대조선의 강역에 대한 논의를 제기하면 국수주의 또는 사이비 역사학이라는 쪽으로 비난하며 논의 자체를 기피한다. 대단히 잘못된 현상이다. 고대조선 강역에 대한 논의는 바로 우리 민족과 문명이 형성된 기원을 찾아 정체성을 확립하는 작업이다. 그럼에도 이를 소홀히 해 만주지역에서 발견되는 유적과 유물들을 우리 문명에 대한 해석으로 연결하지 못한다. 그래서 우리 고대사의 진실을 바로 정리하기는커녕 중국 정부가 조직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동북공정에 대응 논리도 세우지 못하고 있다.
고대조선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윤내현 교수에 의하면 고대조선의 강역은 서쪽은 난하와 갈석산 일대, 북쪽은 아르군강, 동쪽은 흑룡강(아무르강), 남쪽은 경상도와 전라도 남부 해안까지였다. 필자는 이에 적극 동의한다. 고대조선은 ‘삼국유사’에 따르면 서기전 2333년에 청동기문명을 기초로 건국한 실제한 역사였으며, 그 강역은 넓을 때는 지금의 만주(요서와 요동)와 남북한 전 지역이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선행 작업이 필요하다.
먼저 고대 한·중 국경지대인 패수(浿水)의 위치를 알아봐야 한다. ‘사기’ 권115 ‘조선열전’에는 “요동(遼東·동쪽으로 가장 먼 곳)의 옛 요새를 고쳐 패수까지를 경계로 삼아 연(燕)에 속하게 했다”는 말이 있다. 연의 동쪽에 있는 강은 지금의 난하(?河)다. 상흠(桑欽)이 쓴 ‘수경(水經)’과 허신(許愼)이 쓴 ‘설문해자(說文解字)’에 “패수는 낙랑과 루방현을 나와 동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고 하였다. 동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는 강들은 모두 지금의 중국에서 찾아야 한다. 고대 한·중 국경이었던 패수가 발해의 서안에 있었음을 말한다.
다음은 기자와 위만의 성격과 활동지역, 한사군의 위치 등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기자(箕子)는 고대조선 서편 변방에 망명해 제후가 된 실존 인물이다. ‘사기’ 권38 ‘송미자세가(宋微子世家)’는 무왕(武王)이 기자를 조선에 봉하였으나 신하가 아니었다고 했다. ‘진서(晉書)’ 권12 ‘지리지’ 상(上)에는 “조선현은 주 무왕이 기자를 봉했던 땅을 말한다”고 기록돼 있고, ‘한서(漢書)’ 권28 ‘지리지’ 하(下)에는 “조선현은 주 무왕이 기자를 봉한 곳”이라는 내용이 있다. 주의 무왕이 기자를 봉한 조선현은 서한(西漢), 동한(東漢), 진(晉) 시대까지 난하 동쪽에 있던 낙랑군 소속 행정구역이었다.
‘사기’ 권115 ‘조선열전’을 보면 “조선왕 위만(衛滿)은 연(燕)나라 사람이다”고 기록돼 있다. 여기서 말하는 조선은 고대조선이 아니라 위만국을 말한다. 위만은 고대조선과는 무관한 연나라 사람이다. 그런데 국사 교과서에서는 위만이 마치 고대조선을 계승해 부흥시켰고 그의 멸망이 곧 고대조선의 멸망인 것처럼 기술하고 있다. 시정되어야 할 내용이다.
기자-위만-한사군 관계를 보면 위만은 고대조선의 제후(거수)였던 기자의 41대 손 준(準)왕을 물리치고 나라를 세웠으며, 한 무제는 이(위만국)를 멸망시키고 4군을 설치하였다. 따라서 기자국-위만국-한사군은 같은 지역에서 차례로 성립한 일련의 나라와 행정구역이었다. 그 실제 위치는 지금의 요서지역이었음을 위 사료들이 말하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 국사 교과서는 이들이 마치 평양에 있었던 것처럼 설명해 고대조선의 강역뿐 아니라 우리 문명에 대한 해석상의 혼란을 빚고 있다. 민족의 기원에 대한 인식과 민족의 이름마저 합의를 보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 역사학계와 교육부서들은 격의 없는 논의를 통해 역사의 진실을 복원, 청소년들에게 근본 있는 교육을 시켜야 한다. 이를 뒷받침하는 다양한 사료와 고고학 연구 성과들이 우리의 활용을 기다리고 있다.
이도상 역사학자 프로필
1964년 육군 소위로 임관, 베트남전 참전 후 특전부대와 특공작전부대를 지휘하면서 부대원의 자아인식이 전투력 발휘의 기초임에 착안해 민족의 기원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위해 단국대에서 한국 고대사를 전공(석·박사과정)했다. 보병 제66사단장으로 전역 후 원광대 사학과 초빙교수를 역임했으며 지금도 한국 고대사 바로 알리기에 힘쓰고 있다. 저서로 ‘한민족의 국위수준’(보문사, 1990), ‘민족사 재해석’(형설출판사, 1994), ‘일제의 역사침략 120년’(경인문화사, 2003), ‘고대조선 끝나지 않은 논쟁’(들메나무, 2015) 등이 있다.
[이도상 역사학자 (opinion@etoday.co.kr)]